현대인에게 스트레스가 불가피한 일이라면 남은 것은 어떻게 스트레스를 관리할 것인가의 문제다. 닛케이 신문의 설문 조사 결과를 보니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일단 잔다, 단 것을 먹는다, 충동구매를 한다와 같은 답들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몸의 피로와 머리의 스트레스를 풀기 위한 근본적인 방법이라기보다는 일시적이고 감각적으로 즐기기 위한 방법들이다.

 

영국 서섹스대학교 인지심경심리학과 데이비드 루이스 박사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독서, 산책, 음악 감상, 게임, 커피 마시기 등 스트레스를 풀기 위한 방법으로 흔히 떠올리는 활동들 중 가장 효과가 좋은 것은 바로 독서라고 한다. 6분 정도 책을 읽으면 스트레스가 68퍼센트 감소되고, 근육 긴장이 풀어지며 심박수가 낮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른 활동도 스트레스를 줄이는 역할은 하지만 독서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고, 게임의 경우 스트레스는 줄어들지만 심박수는 높게 나타났다.

 

루이스 박사는 “독서는 현실에서 탈출하고 싶은 욕구를 잘 충족시켜 준다. 무슨 책을 읽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다만 작가가 만든 상상의 공간에 빠져 일상의 스트레스와 걱정에서 탈출할 수 있으면 된다.”고 전했다.

 

책을 마음의 쉼터로 삼아 몸과 마음을 재충전하고 나면 다시 문제를 마주할 힘이 생긴다. 하루하루 팍팍한 일상 속에서 단 10페이지라도, 단 30분이라도 책을 읽으며 즐거움을 만끽하길 바란다.

--사이토 다카시의 [독서는 절대 나를 배신하지 않는다] 중에서!!

 

(^-^)스트레스도 해소하고, 마음의 교양도 쌓고~~♪♬

▼▼▼

oneany.shop/tbZxnR

 

독서는 절대 나를 배신하지 않는다 + 내가 공부하는 이유 [전2권] : 사이토 다카시 베스트

 

nefing.com

 

 

LIST

 

나와 내 욕망에 대한 확신이 없어서 사람들은 불안에 시달린다. 내가 제대로 잘 살고 있는지 남들과 끊임없이 비교하고, 남들이 사는 대로 살기 위해 발버둥친다.

 

원하는 것이 맞는지 물어볼 틈도 없이 성공하기 위해 모든 걸 잃어도 좋다는 기세로 일에 몰두하거나 돈에 집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것을 보면 갈수록 현대인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알고 싶다면 낯선 자극과 부딪히면서 익숙한 것을 다시 새롭게 볼 수 있어야 한다.

 

우리 삶은 똑같은 일상이 매일 반복되고 나이가 들수록 인간관계도 좁아진다. 낯선 경험을 하기도, 무뎌진 눈으로 일상을 새롭게 발견하기도 쉽지 않다.

 

오히려 거듭되는 경험을 통해 편협한 시각을 갖게 될 확률이 높다. 새로운 사람을 만나도 ‘저런 타입의 사람을 몇 명 만나 봤지. 대화가 전혀 안되는 피곤한 스타일이야’라는 식으로 생각하게 된다.

 

이런 한계점을 극복하게 해 주는 것이 바로 독서다. 책에는 저자의 삶과 생각 혹은 그가 본 세상의 모습이 담겨 있다. 그러므로 책 한 권을 읽는 것은 낯선 사람과 관계를 맺고 새로운 세상을 만나는 것과 마찬가지다.

--사이토 다카시의 [독서는 절대 나를 배신하지 않는다] 중에서!!

 

(^-^)나 아닌 다른 세상과의 자연스러운 무한 접속~~♪♬

▼▼▼

oneany.shop/tbZxnR

독서는 절대 나를 배신하지 않는다 + 내가 공부하는 이유 [전2권] : 사이토 다카시 베스트

nefing.com

 

 

LIST

 

현대 경영학을 창시한 피터 드러커는 취업과 동시에 대학에 진학했지만 학교는 한 번도 나가지 않고 오로지 도서관에서 책을 읽으면서 공부를 했다고 한다. 당시는 강의에 출석하지 않아도 졸업 시험만 치르면 학위를 받을 수 있었다.

 

그래서 그는 일하고 있던 사무실 맞은편에 있는 공립도서관에 가 독일어, 영어 책 등 종류를 가리지 않고 닥치는 대로 읽었다.

 

훗날 자신의 책 [피터 드러커 : 나의 이력서]에서 ‘나는 도서관에서 진짜 대학 교육을 받았다고 생각한다’고 말할 정도다.

 

이때부터 시작된 공부는 평생 이어졌다. 3년이나 4년마다 통계학, 중세 역사, 일본 미술, 경제학 등등 분야를 가리지 않았고, 아흔이 넘은 나이에도 ‘셰익스피어 전집을 천천히 주의 깊게 읽기’, ‘발자크의 [인간희극] 시리즈 읽기’ 등등 목표를 세워가며 꾸준히 책을 읽었다.

 

피터 드러커에게 새로운 분야를 탐구하고 익혀서 자기 것으로 만드는 과정은 곧 독서를 의미했다. 그리고 책에서 배운 것들은 일을 하고 성과를 내게 하는 자양분이었다.

 

그가 신문기자, 대학 교수, 컨설턴트 등 여러 직업을 거치면서 일의 종류를 가리지 않고 인정받을 수 있었던 것도, 서른 권이 넘는 책을 내고 셀 수 없을 정도의 많은 논문과 기사를 쓸 수 있었던 것도 폭넓은 지식과 식견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이었다.

 

그는 어떤 일에서든 전문가로 인정받고 싶다면 끊임없이 책을 읽고 새로운 주제를 공부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이토 다카시의 [독서는 절대 나를 배신하지 않는다] 중에서!!

 

(^-^)평생 공부의 기본 독서~♪♬

oneany.shop/tbZxnR

독서는 절대 나를 배신하지 않는다 + 내가 공부하는 이유 [전2권] : 사이토 다카시 베스트

nefing.com

 

 

LIST

'책과 함께 > 독서는 절대 나를 배신하지 않는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스트레스 해소 독서  (0) 2021.04.16
10.새로운 세계  (0) 2021.04.15
8.배움의 독서  (0) 2021.04.13
7.책은 인생을 바꿀 열쇠다  (0) 2021.04.02
6. 점과 점 이어 긋기  (0) 2021.04.01

+ Recent posts